경제,건강 이바구

492조 원전해체 시장 잡아라...긴 여정에 흔들림 없는 정책 필수 본문

경제

492조 원전해체 시장 잡아라...긴 여정에 흔들림 없는 정책 필수

사계 5 2025. 1. 12. 09:48
300x250

 

<사진: 뉴스1 )


 

"원전해체 긴 여정, 모두 함께 갑시다."

지난해 11월25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 호텔에 우리나라 원자력발전(원전) 해체 전문가 200명이 모여 외친 다짐이다. 이들은 국내 원전해체 준비 현황을 점검하고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에 대해 논의했다. 또 기술과 시장, 인프라 분야별 원전해체 사업의 추진 현황과 향후 계획을 집중 점검했다.

 

원전의 운전 허가가 종료되고 수명 연장을 하지 않거나 운전 중이라도 경제성(가동비용)과 환경문제 등으로 폐기가 결정되면 원전을 허물고 원자로를 폐기해야하는 데 이를 '원전해체'라고 한다.

우리나라 원전해체 시장 규모는 총 26조원(30기 기준)으로 추정된다. 현재 국내 영구정지 원전 2기(고리1호기, 월성1호기)는 해체승인 신청 완료 및 원자력안전위원회 인허가 심사 중이다.

글로벌 원전해체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국내 기술의 현장적용실적(Track-Record) 확보가 필수적이다. 고리1호기(경수로)는 2025년 상반기에 해체 승인이 날 것으로 보이고, 월성1호기(중수로)는 2027년 승인을 받을 전망이다.

고리 1호기의 사용후 핵연료 반출은 2030년경 건식저장시설 준공 이후, 월성 1호기는 2025년 중 건식저장시설(맥스터)로 사용후 핵연료 반출완료 예정이다.

1978년 상업운전을 시작한 고리1호기는 40년만인 지난 2017년 영구정지 판정을 받고 해체의 길로 들어섰다. 해체엔 15년 이상 걸릴 전망이다.

월성1호기 역시 1984년 이후 35년간 운영된 후 해체될 예정인데 마찬가지로 해체엔 십수년이 걸린다. 원전해체는 여러 정권에 걸쳐 진행되는 프로젝트란 얘기다. 긴 안목으로 흔들림 없는 정책이 원전해체 시장을 키울 수 있다.

전 세계 원전해체 시장으로 눈을 돌리면 더욱 그렇다. 글로벌 원전해체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약 492조원으로 추정된다. 각 나라가 추가적으로 계속 운전을 시행하지 않는다면 현재 성장 중인 글로벌 해체 시장은 2040년대에 정점을 이룰 전망이다. 이후 계속운전 여부에 따라 원전 해체시장은 더욱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

해외 원전해체 시장의 추이를 파악하기 위해 각국의 계속운전 추이를 지속적으로 추적 관찰하는 게 중요하다. 하지만 정권에 따라 원전 정책이 매번 뒤바뀌면 이 시장의 흐름을 놓치기 쉽다.


2024년 9월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영구정지 원전은 211기, 운영원전은 415기다. 2050년까지 270기 원전이 추가로 영구정지 예상된다. 해체 준비중인 원전도 89기에 달한다. 현재 신규 건설 중인 원전 57기까지 고려하면 추후 해체 물량은 지속적으로 발생할 전망이다.

현재 원전해체 경험을 보유한 나라는 미국(17기), 독일(4기), 일본(1기) 등에 불과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정권에 따라 원전해체 기술개발에 차질이 생기거나 다른 나라와 기술격차 확대로 해체시장 진출 기회를 잃을 수 있다.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은 "전 세계 원전해체 시장은 로봇과 디지털트윈, 신소재 등 첨단기술이 융복합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며 "세계적인 원전산업 역량을 토대로 원전해체 기술력을 확보해 국내 원전해체에 대비하고 글로벌 시장을 주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해외 선진국과 비교하면 우리나라는 해체기술 실·검증 인프라가 부족한 게 현실이다. 선행 핵주기 분야(설계-건설-운영 등)에 집중된 원전산업 생태계의 경쟁력을 후행 핵주기 분야(해체-폐기물 관리 등)로 확대해 'K-원전'의 전주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정부도 지난해 말 한국원자력환경복원연구원을 설립해 원전해체 시장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이곳은 국내 원전 해체산업의 종합 플랫폼으로서 원전해체산업 육성과 중소기업 지원의 핵심 거점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원전해체 기술을 실증해 고도화하고, 해체 폐기물의 방사능 핵종과 농도를 분석한다.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원전해체를 지원할 계획이다.

최남호 산업부 2차관은 "지속 가능한 원전산업 생태계를 위해 원전해체와 사용후핵연료 관리 등 후행주기 기술 확보가 필요하다"며 "원전 해체기술 사업화와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글로벌 원전해체 기술 선도국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300x250